건강정보

정선근 교수님의 목디스크 예방 및 재활, 스트레칭법 완전 정리

몽쉘좋아해요 2025. 3. 25. 16:58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 흔히 발생하는 목디스크는 잘못된 자세와 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서울대학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님은 목디스크의 원인과 해결책을 매우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그의 핵심 메시지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합니다.

"디스크는 눌려서가 아니라 찌그러져서 아프다."

이 글에서는 정선근 교수님의 설명을 바탕으로 목디스크의 원인, 예방, 재활 스트레칭, 수면 자세, 베개 선택법까지 핵심만 추려 정리합니다.


1. 목디스크가 생기는 진짜 이유

정 교수님은 디스크 통증의 핵심을 "구부러진 자세로 반복적인 압력이 가해질 때 디스크가 찌그러진다"고 설명합니다.
즉, 일상생활에서 다음과 같은 자세가 누적될 때 목디스크가 발생합니다.

  • 고개를 앞으로 빼는 거북목 자세
  • 장시간 아래를 보는 스마트폰 사용
  • 구부정하게 앉은 습관
  •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수면 습관

이러한 반복된 자세가 경추 디스크를 밀어내며 신경을 압박하고 통증, 저림, 뻣뻣함 등을 유발하게 됩니다.


2. 예방의 핵심: 정자세 유지 훈련

정 교수님이 강조하는 가장 중요한 훈련은 단 하나, **올바른 자세를 ‘몸에 익히는 것’**입니다.
매일 5분만이라도 바른 자세를 의식적으로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척추 건강은 크게 달라집니다.

바른 자세의 기준

  • 귀, 어깨, 골반이 일직선이 되도록 앉는다
  • 턱은 살짝 당겨 목이 C자 커브를 유지하도록 한다
  • 모니터는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 스마트폰은 눈높이에서 사용한다
  • 앉을 때 허리, 등, 목이 모두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3. 정선근 교수님의 목디스크 재활 운동

정 교수님은 디스크가 밀려나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즉, **목을 ‘펴는’ 방향(신전, extension)**으로 반복적인 자극을 줘야 디스크가 제자리로 복원됩니다.

1) 턱 당기기 운동 (Chin Tuck)

  • 정면을 보고 고개를 숙이지 않은 상태에서 턱만 뒤로 당긴다
  • 목 뒷부분이 곧게 펴지는 느낌을 유지
  • 5초간 유지 → 10회 반복
  • 하루 2~3회 실천 권장

이 운동은 경추 5~6번 사이 디스크 압력을 줄이고, 거북목 교정에도 효과적입니다.

2) 고개 뒤로 젖히기 (Neck Extension)

  • 정자세에서 턱을 당긴 뒤, 고개를 천천히 뒤로 젖힌다
  • 통증 없는 범위까지만 젖히고 3~5초 유지
  • 하루 5~10회 반복

이 동작은 디스크가 앞으로 밀려 나온 경우, 반대 방향으로 복원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벽 기대 자세

  • 등, 엉덩이, 뒤통수를 벽에 붙이고 선다
  • 귀와 어깨, 골반이 일직선이 되는 감각을 익힌다
  • 하루 1~2분 정도, 자세 인식 훈련용으로 반복

어깨가 아픈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목디스크?! 자세만 바꿔도 목디스크를 고칠 수 있다는데 지금 당장 따라해 보세요. '허리의 신' 정선근 교수가 알려주는 목 디스크 치료운동!!

 


4. 수면 자세와 베개 사용법

정 교수님은 수면 중 자세가 디스크 회복 또는 악화에 결정적 영향을 준다고 강조합니다.

수면 자세 원칙

  •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서 턱을 살짝 당긴 상태 유지
  • 옆으로 잘 경우, 어깨-목이 꺾이지 않도록 쿠션을 보조적으로 사용
  • 구부정하게 자거나 엎드려 자는 자세는 금물

베개 선택 기준

  • 높지 않으며, 머리가 아니라 목을 받쳐주는 형태가 이상적
  • 경추의 C자 커브를 유지해주는 디자인
  • 너무 푹신하거나 꺼지는 베개는 피할 것

5. 자주 하는 질문 (Q&A)

Q. 고개 젖히는 운동을 하다가 통증이 느껴집니다. 계속 해도 될까요?

A.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 운동은 항상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만 진행해야 하며, 증상이 지속될 경우 병원 진료가 우선입니다.

Q. 스트레칭은 어떤 걸 몇 번 해야 하나요?

A. 스트레칭보다는 자세 훈련과 신전 방향 운동(턱 당기기, 고개 젖히기)을 하루 2~3세트 꾸준히 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6.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경우, 운동보다는 전문 진료가 우선입니다.

  • 팔이나 손에 저림, 감각 이상
  • 팔이나 손에 힘이 빠지는 경우
  • 통증이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심할 때
  • 운동 중 어지럼증, 통증이 심화되는 경우

이 경우 재활의학과, 신경외과 등에서 영상검사와 함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요약

항목실천 방법핵심 포인트
자세 훈련 귀–어깨–골반 일직선 유지 하루 5분이라도 정자세 연습
재활 운동 턱 당기기, 고개 젖히기 디스크 복원에 효과적
스트레칭 무리하지 않고 반복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 수행
수면 습관 낮은 베개, 정자세 유지 경추 C커브 유지
베개 선택 목을 받쳐주는 낮은 형태 지나치게 푹신한 베개 피하기

정 교수님의 방식은 복잡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자세, 간단한 운동, 꾸준한 실천.
이 세 가지가 디스크 예방과 회복의 핵심입니다.

이 글을 통해 하루 5분, 내 몸을 위한 시간을 가져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