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곧 결혼식의 계절이 다가오네요. 특히 5월은 "결혼 성수기"로 불릴 만큼 많은 커플들이 웨딩마치를 올리는 시기죠.
결혼식 청첩장을 받았을 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와! 결혼하는구나!" 그리고 곧바로 따라오는 고민,
"축의금은 얼마 해야 하지?"
돈 문제는 언제나 난감한 법이죠. 너무 적게 주면 없어 보이고, 너무 많이 주면 부담스럽고.
이럴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상황별 축의금 가이드를 정리해 보았어요.
1. 축의금 금액, 기본 공식은?
보통 축의금은 5만 원, 10만 원, 20만 원 단위로 결정돼요. 흔히 "5, 10, 20 법칙"이라고 부르죠.
- 5만 원: 지인, 직장 동료 등 가볍게 인사하는 사이
- 10만 원: 친한 친구, 절친한 직장 동료
- 20만 원 이상: 가족, 친척, 정말 가까운 친구
3만 원은 가능할까?
3만 원도 가능하지만, 대부분 5만 원부터 시작하는 분위기라 약간 애매할 수 있어요. 학생이거나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괜찮지만, 가능하면 5만 원 이상이 좋아요.

2. 관계별 축의금 추천 금액
① 친구 결혼식
- 그냥 아는 사이: 5만 원
- 친한 친구: 10만 원
- 베스트 프렌드: 15만~20만 원
② 직장 동료 결혼식
- 같은 팀이지만 안 친함: 5만 원
- 업무적으로 자주 만나는 사이: 10만 원
- 회사 절친: 10~15만 원
③ 친척 결혼식
- 가까운 친척 (사촌, 조카 등): 20만 원 이상
- 먼 친척: 10만 원 정도
- 부모님이 대신 줄 경우: 가족 명의로 30만 원 이상
④ 상사나 후배 결혼식
- 직속 상사: 10~20만 원
- 직속 후배: 5~10만 원
- 잘 모르는 타 부서 상사: 5만 원

3. 이런 경우, 축의금 얼마 줘야 할까?
갑자기 청첩장을 받았을 때
친하지 않다면 5만 원이면 충분해요. 하지만 회사나 모임 등에서 만날 일이 많다면 10만 원 정도가 적당할 수도 있어요.
친구가 두 명이 같이 결혼할 때 (더블 웨딩)
보통 축의금은 한 명당 5만 원으로 계산해, 총 10만 원을 내는 경우가 많아요.
생일 때 축의금 받은 친구에게 얼마 줘야 할까?
상호 교환 개념이라면 받은 만큼 돌려주는 게 좋아요. 하지만 여유가 된다면 조금 더 보태도 괜찮아요.
4. 지역별, 문화별 축의금 차이
도시 vs 지방
- 대도시에서는 축의금이 10만 원 이상이 기본이지만, 지방에서는 5만 원이 일반적인 경우가 많아요.
해외 결혼식
- 해외에서 결혼하는 경우 축의금 대신 선물을 보내는 경우도 많아요.
전통 vs 현대 결혼식
- 전통적인 결혼식에서는 부모님이 축의금을 관리하는 경우도 있어요.
5. 축의금을 줄 때 유의할 점
1) 축의금 봉투는 깔끔하게
너무 낡은 봉투보다는 예쁜 축의금 봉투를 준비하는 게 좋아요. 간혹 이름을 빠뜨리는 경우도 있는데, 꼭 적어야 나중에 혼선이 없어요.
2) 새 지폐 준비하기
구겨진 돈보다는 새 돈이 예의로 여겨져요. 미리 은행에서 교환해 두는 센스를 발휘하는 것도 좋아요.
3) 4만 원, 9만 원은 피하기
4와 9는 한국에서 불길한 숫자로 여겨지므로 절대 피하는 게 좋아요.

6. 축의금을 못 낼 경우 대처법
돈이 부족할 때
- 가볍게 선물로 대신하거나, 축하 메시지를 정성스럽게 보내는 것도 방법이에요.
참석하지 못할 때
- 친한 친구라면 계좌이체로 축의금을 전달해도 괜찮아요.
너무 자주 청첩장을 받을 때
- 상황을 설명하고 친한 사람 위주로 참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7. 축의금을 받을 때 고려해야 할 점
부모님이 관리하는 경우
- 가족 단위로 금액을 정할 수도 있어요.
혼주가 축의금을 돌려주는 경우
-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는 받은 만큼 돌려주기도 해요.
세금 문제
- 축의금은 보통 비과세지만, 일정 금액을 넘으면 신고해야 할 수도 있어요.
8. 결론: 부담 없이, 마음을 담아!
결국 축의금은 정해진 공식이 있는 게 아니라 마음과 상황을 고려해 적절하게 주는 게 중요해요.
너무 부담스럽지 않게, 하지만 성의는 느껴지도록 준비하면 좋겠죠.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옷 얼룩 제거 방법 총정리|집에서 쉽게 지우는 생활 꿀팁 모음 (0) | 2025.03.31 |
---|---|
부의금 봉투 쓰는법과 조문 예절까지 총정리 (0) | 2025.03.22 |
[넷플릭스 계정 해킹]스페인어로 바뀌고 인도네시아에서 로그인?! (0) | 2025.03.21 |
편의점에서도 후불 하이패스 카드 구매 가능? 구매처 & 사용법 총정리! (0) | 2025.03.19 |
기온별 옷차림 완벽 정리! 온도에 맞는 남녀 스타일 추천 (1) | 2025.03.17 |